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6

'한글' - 자음 창제의 원리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을 우리는 너무도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글'이 과학적인 글자라는 것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첫번 째로 '한글 자음 창제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음의 정의 자음은 발성 기관에서 나는 소리를 만들어 내는 각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따서 만든 글자를 말합니다.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고서 나는 소리라서 '장애음'이라고도 합니다. 세종대왕 때 만든 자음자 17자 이때 만든 자음자는 총 17자입니다. 이 바로 그 자음자의 모습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한글 자음자 14자 위의 17 자음자 중 현재는 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의 14자만을 사용합니다. 자음의 기본자 - 상형의 원리 자음의 기본자는 5글자입니다. 'ㄱ'은 어금니 옆에 있는 혀뿌리가.. 2023. 5. 14.
2025 대입 정시 의대 지정 과목 현황 2025 대입 정시에서 의대에 가려면 어떤 과목 선택을 해야 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국적으로 총 39개 의대가 있습니다. 언론과 매체들의 보도에서 문과 학생들도 의대에 지원이 가능하다고 대서특필하고 있는데 이것이 사실인지 알아 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원이 가능한 대학이 일부 있기는 해도 문과생의 합격은 사실상 어렵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유형별로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문계열에서 별도로 의대 학생을 선발하는 대학 눈에 보이는 대학으로는 이화여대 1개교가 있습니다. 그러나, 수능에서 수학 선택과목을 지정하지 않았고(실제로 문과생들은 대부분 확률과통계를 선택하고 이과생들은 표점 산출에 유리한 미적분과 기하를 선택함) 탐구에서 사탐과 과탐 모두를 반영하는 것이어서 사실상 이과 학.. 2023. 5. 9.
2025 대입 정시 <수학>, <탐구> 지정 현황 2025 대입전형시행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수시와 정시를 망라한 내용들이 들어가 있어 이에 대한 분석들도 연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정시에서 수학과 탐구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 하였습니다. 발표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위 15개대 정도를 중심으로 수학과 탐구의 지정 현황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대학들의 정시 , 지정 상황 [서울대] 서울대는 인문계열의 경우 수학과 탐구 모두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은 수학에서 미적분과 기하 중 응시하여야 하고, 과탐 역시 지정하였습니다. 과탐2 과목을 응시할 경우 가산점을 줍니다. [연세대] 연세대는 인문계열의 경우 수학과 탐구 모두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사탐 응시생의 경우 3%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자연계열도 수학과 탐구를.. 2023. 5. 7.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 내용 안내 3일 전에 현재 고2 학생들과 관련이 있는 2025 대입전형시행계획이 대교협을 통해 발표되었습니다. 주된 내용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큰 골자를 먼저 본다면 우선 수시에서는 기존의 선발 기조를 유지하였습니다. 그리고 학교폭력조치사항을 대학의 자율 반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한편 수능 응시과목에 관계없이 문과와 이과에서 톻합 선발하는 대학들이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학교폭력 조치사항 대입전형 자율 반영 2025학년도부터 전국의 147개 대학에서 학폭 조치사항을 대입전형에 자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형별로 살펴보면 학종에서 112개교, 교과에서 27개교, 수능에서 21개교, 체육특기자에서 88개교가 학폭 학생에게 대입에서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통.. 2023.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