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입시

2025 대입 정시 <수학>, <탐구> 지정 현황

by 눈물개그 2023. 5. 7.
반응형

 2025 대입전형시행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수시와 정시를 망라한 내용들이 들어가 있어 이에 대한 분석들도 연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정시에서 수학과 탐구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 하였습니다. 발표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위 15개대 정도를 중심으로 수학과 탐구의 지정 현황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대학들의 정시 <수학>, <탐구> 지정 상황

 

[서울대]

서울대는 인문계열의 경우 수학과 탐구 모두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은 수학에서 미적분과 기하 중 응시하여야 하고, 과탐 역시 지정하였습니다. 과탐2 과목을 응시할 경우 가산점을 줍니다.

 

[연세대]

연세대는 인문계열의 경우 수학과 탐구 모두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사탐 응시생의 경우 3%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자연계열도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과탐을 선택하면 3%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고려대]

고려대는 인문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에서는 수학을 지정하지 않았지만 과탐은 지정하였습니다.

 

[서강대]

서강대는 지난해처럼 인문계열과 자연계열 모두 수학과 탐구 영역에서 지정 선택과목이 없습니다.

 

[성균관대]

성균관대는 인문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에서 수학은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과탐은 지정하였습니다. 과탐을 선택한 학생에게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한양대]

한양대는 인문계열과 자연계열 모두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이화여대]

이화여대는 인문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에서도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으나 과탐을 선택한 학생에게는 6%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중앙대]

중앙대는 인문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인문계열과 사범계열 학생에게는 사탐 응시생에게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자연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자연계열 전체에서 과탐 응시생들에게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경희대]

경희대는 인문계열의 경우 수학과 탐구 모두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사탐을 선택하면 과목당 4점씩 부여합니다. 자연계열의 경우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과탐을 선택하면 과목당 4점씩 부여합니다.

 

[한국외대]

한국외대는 인문계열과 자연계열 모두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서울시립대]

서울시립대는 인문계열의 경우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탐 응시생의 경우 2과목 응시 시 3%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자연계열의 경우 수학은 미적분과 기하 중 응시해야 하고 탐구는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과탐 2과목 응시 시 7%의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건국대]

건국대는 인문계열과 자연계열 모두 수학과 탐구에서 지정 과목이 없습니다.

 

[동국대]

동국대는 인문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으나 일부 모집단위의 경우 사탐 응시 시 3%의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자연계열에도 역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모집단위별로 수학에서 미적분과 기하 중 선택을 요하는 곳이 있으며 과탐 응시생의 경우 각 과목당 3%의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숙명여대]

숙명여대는 인문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에서도 수학과 탐구 과목을 지정하지 않았으나, 일부 모집단위의 경우 과탐 1과목을 반드시 포함해 응시하여야 하고 신소재물리의 경우 과탐에서 물리를 선택하면 5%의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인하대]

인하대는 인문계열에서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연계열의 경우도 수학과 탐구를  지정하지는 않았으나 미적과 기하 중 선택한 학생과 과탐을 선택한 학생에게는 각각 과목별(탐구는 평균) 표준점수 3%의 가산점을 제공합니다.

 

[마무리]

전반적으로 통합형 수능의 미비점을 보완하려고 노력하는 대학들과 기존의 형태를 고수해 나가려 하는 대학들 이렇게 2분류군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내년에 수시모집요강이 나오면 더욱 정확해지겠지만 본인이 생각하고 있는 대학이 있다면 미리 알고서 수능 대비를 하여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