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입시

부전공 제도에 대하여

by 눈물개그 2023. 6. 3.
반응형

부전공의 개념

부전공은 일정 조건(여기서의 일정 조건이라 함은 부전공 신청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의 취득 학점 등을 말함) 이상을 충족한 학생에 한해 2학년이나 3학년 때부터 주전공 외의 다른 전공을 부수적으로 선택한 다음 수강하게 하여 이수 학점을 취득할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복수전공과의 차이점

부전공의 경우 복수전공과 비교했을 때 가장 차이나는 점은 학위를 하나 더 주지는 않고 주전공 학위 옆에 부전공을 표기하는 식으로 이수 여부를 나타내 줍니다. 즉, 부전공은 복수전공에 비해 이수 학점이 조금 적은 편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전공 부연 설명

입학한 학과와 학부 이외에 다른 학과나 학부의 과목을 수강, 이수하여 부전공 자격을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학위 취득은 되지 않기 때문에 이 점을 인지하고서 신청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휴학생이나 학사학위취득을 미룬 학생들을 제외한 재학생이나 복학 예정 학생에게 부전공의 기회를 줍니다. 또한 2학년 학생부터 신청이 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어느 정도의 평점 평균 성적 이상을 받아야만 부전공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학들이 많습니다. 1회 신청할 때 1개 학과에 한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해당 부전공학과의 수업 여건 등에 따라 그 선발 인원을 제한하기도 합니다. 일정 학점 이상의 과목을 지정하고 그 이상을 취득한 다음 수강한 과목의 평균 평점이 기준 이상이 되었을 때 졸업과 동시에 부전공 자격 취득을 할 수 있습니다. 후에 입사 등에 부전공을 하였다는 '부전공 자격 취득 확인서' 등의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혹시라도 신청 부전공 학과의 수강을 중도 포기하였다면 일반선택 등의 과목으로 인정하여 학점 계산을 하게 되고 제1 전공 학위만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8학기 안에 졸업한다면 부전공을 했다고 하여 추가 등록금을 납부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졸업이 지연된다면 수강신청 과목의 학점을 계산하여 추가 등록금을 납부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전공의 경우 전공필수 과목과 전공선택 과목 등의 구분을 두지 않아 학생의 수업 선택 폭을 넓혀 주는 대학들도 많습니다. 부전공을 하게 되었을 때 주 전공의 학점이 조금 줄어들 개연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학문을 섭렵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장점이 더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학에 따라서는 자기소개서 평가 절차를 마련하는 곳도 있습니다. 수강신청을 할 때 과목과 시간이 주 전공과 맞지 않아 애를 먹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주간과 야간을 함께 운영하는 대학의 경우에는 부전공에 한층 더 유연하게 다가갈 수도 있습니다.

 

마치며

대학은 상아탑의 요람입니다. 공부의 영역을 넓혀 보고 싶다면 대학생 여러분들께서는 바로 부전공 신청을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중전공 제도 알아보기  (0) 2023.06.13
이중전공 제도  (0) 2023.06.07
<복수전공 제도> 톺아보기  (0) 2023.05.24
전과제도 살펴보기  (0) 2023.05.21
2025 대입 정시 의대 지정 과목 현황  (0) 2023.05.09

댓글